윤석열 대통령 파면으로 금융당국과 주요 공공기관장들의 거취에도 관심이 쏠린다. 파면 이후 60일 이내 조기 대선이 예정된 가운데 정권 교체 시 대다수 금융당국 및 공공기관 수장들이 교체될 것으로 예상돼서다.

금융정책을 주도하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해 7월말 취임해 임기가 2년 이상 남은 상태지만 새 정부 개각 과정에서 교체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조기대선이 치러지는 오는 6월 임기가 만료되지만 주요 기관장들 가운데 사실상 '1번'으로 사퇴의사를 밝힌 상태다. 경제가 위중한 상황이라 조기 사퇴보다는 6월 임기만료까진 업무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윤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정치 불확실성은 일부 해소됐지만 국내 경기 침체와 미국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경제 및 금융시장 불안요소는 산적한 상태다. 

사진 왼쪽부터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금융위

취임 8개월 김병환, 임기 다 채운 이복현

장관급의 금융위원장은 3년 임기로, 지난해 7월31일 취임한 김병환 위원장은 임기가 2년 이상 남았다. 그럼에도 조기대선 후 교체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그 동안 금융위원장들은 정권 교체와 함께 사퇴하거나 개각 과정에서 교체된 바 있다. 고승범 전 금융위원장도 임기가 2년 이상 남았지만 윤석열 정부 출범 전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임기가 두달 정도 남았다. 조기 대선이 치러지는 시기(6월초께) 이 원장 임기도 끝난다. 이 원장은 '상법개정안'에 대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거부권 행사를 '직'을 걸고 반대한바 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등 주변의 만류로 (사의를) 보류한 것으로 스스로 언급하기도 했지만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 등을 고려하면 임기까지 마칠 가능성이 높다.

역대 최초 검사 출신 금감원장이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복심으로 주목 받았던 이복현 원장은 임기 동안 금융권에서 가장 강한 스피커 역할을 했다. 취임 초부터 은행권 이자장사를 비판했고 금융지주 회장과 은행장 등의 선임 과정을 지적하기도 했다. 

금융위·금감원과 함께 주목받는 곳은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이다. 이들 기관의 수장들도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6월7일, 윤희성 수출입은행장은 7월이면 임기가 끝난다. 남은 임기가 짧아 큰 변수가 없다면 조기 대선과 함께 임기를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성태 기업은행장 거취에도 관심이 쏠린다. 내년 1월2일 임기가 만료되는 김성태 행장은 당초 남은 임기를 무난히 소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시중은행과 비교해 부족한 임금에 대한 직원들의 불만으로 노조와 갈등이 깊어진 가운데 전현직 임직원이 연루된 800억원대의 부당대출 후폭풍에 휩싸이면서 거취를 불안케 만드는 요인이 됐다.

'현안 산적' 리더십 공백 최소화할까

윤석열 정부는 초대 금융팀 구성에 난항을 겪었다. 윤 정부 첫 금융팀은 정부 출범(2022년 5월10일) 후 약 한 달이 지나서야 윤곽이 드러났다.

윤 정부 첫 금융위원장인 김주현 위원장과 이복현 원장은 6월 초 내정됐다. 하마평이 무성했던 산업은행 역시 강석훈 회장이 6월이 돼서야 임명됐다. 강석훈 회장의 경우 윤 정부 주요 공약이 산업은행 본점 부산이전이었던 만큼 노조 반대가 거세 첫 출근 자체가 쉽지 않았다.

반면 윤희성 수출입은행장은 역대 최초로 내부 출신이자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함께 고시 공부를 했다는 인연이 주목받으며 무난하게 임기를 시작했다.

이전 정부를 반면교사 삼고 금융권 현안이 그 어느 때보다 산적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차기 정부도 금융수장 리더십 공백을 최소화하는데 힘을 쏟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금융위와 금감원 등 금융당국은 당장 금융시장 안정에 주력해야 한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폭탄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최소한 올 상반기 내내 이어질 수밖에 없고, 금융회사 비상계획 등도 살펴야 한다. 관련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 방안 등의 정책도 이어가야 한다. △관련기사:김병환, 금융지주 소집 "미 관세 타격 기업 적시 지원"(4월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