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뱅킹 인기에 은행 비이자이익도 늘어날 전망이다. 시중은행 골드뱅킹 잔액은 역대 최대인 1조1000억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골드뱅킹 계좌 수도 매달 늘어나고 있다.

끝 모를 '금'의 인기에 시중은행들은 거래 증가에 다른 비이자이익 확대도 기대하고 있다.

/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골드뱅킹을 취급하는 3개 은행인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골드뱅킹 잔액은 지난 21일 기준 1조71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중순께 사상 처음으로 9500억원을 넘어서더니 불과 보름 후인 지난달 말 1조원을 돌파했고, 이후 연일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골드뱅킹은 실물 금 대신 은행 예금 통장에 넣은 금액을 금 무게로 환산해 보유하는 투자 상품이다. 금 시세에 따라 잔액이 늘거나 줄어든다. 금값은 연일 최고가를 새로 쓰고 있다. 오름폭도 크다. 지난 21일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3428.39달러로 올해 1월 2일(2658.9달러) 대비 28.9% 상승했다. 

골드뱅킹 계좌 수는 22일 기준 28만8086좌를 기록했다. 마찬가지로 역대 최대다. 지난해 4월(25만7189좌)보다 12% 늘었고, 올해 1월(27만5424좌)보다도 4.6% 증가했다.

/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금은 차익 실현을 위한 최적의 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올해는 미국 주식과 비트코인 수익률을 넘어섰다. 금이 올해 1월 대비 현재 수익률 26%를 기록할 동안 미국 나스닥 지수는 15.5% 빠졌고 비트코인은 10% 가량 하락했다.

지난해 금리 인하 기조 여파로 가격이 올랐던 금은 올해 상호관세를 비롯한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타격으로 폭등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연말까지도 금 가격이 지속 상승, 수요도 함께 늘어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금과 함께 안전자산으로 불리는 달러가 최근 큰 폭의 등락을 보이는 점도 골드뱅킹 등 금 수요가 증가할 배경으로 거론되고 있다.

은행들은 골드뱅킹 확대에 따른 수수료 이익을 기대하고 있다. 골드뱅킹으로 금을 사고 팔때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는 1%. 여기서 발생한 수수료는 은행의 비이자이익으로 잡힌다. 

지난해 은행들 총이익 내 비이자이익 비중은 10%대로 나타났다. 과거 대비 개선되기는 했지만 이자이익 비중이 여전히 90%에 달해 비이자이익을 늘리는 게 매년 시급한 과제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 시중은행 관계자는 "어떤 방식으로든 비이자이익을 늘리려고 노력 중"이라면서 "올해는 골드뱅킹으로 확보되는 비이자이익이 예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점쳐진다"고 말했다.